잡학공부/산림보호학11 [산림보호학3] 산림기사 완벽대비를 위한 정리자료를 찾고 계시나요? 산림기사 대비 산림보호학 정리자료입니다. 여기서는 산림보호학에서 기상에 의한 피해 중 저온에 의한 피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 ※산림보호학 목차 [산림보호학1] [산림보호학2][산림보호학3] [산림보호학4] [산림보호학5] [산림보호학6][산림보호학7] [산림보호학8] [산림보호학9] [산림보호학10][산림보호학11] 제2장. 기상에 의한 피해 1. 저온에 의한 피해 1) 상해 가) 시기에 따른 구분 (1) 만상(晩霜.늦서리) : 이른 봄 발생, 추운 지방의 수종을 따뜻한 지방으로 옮겼을 경우 발생 - 방제 : 무풍 방향에 방풍림 조성, 배수 개선, 피해를 보기 쉬운 수종은 가급적 늦게 파종 묘상에 낙엽이나 짚을 덮어 묘목 보호 (2) 조상(早霜,이른 .. 2024. 3. 22. [산림보호학2] 산림기사 완벽대비를 위한 정리자료를 찾고 계시나요? 산림기사 대비 산림보호학 정리자료입니다. 여기서는 산림보보학에서 산림화재와 연해(대기오염)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 ※산림보호학 목차 [산림보호학1] [산림보호학2][산림보호학3] [산림보호학4] [산림보호학5] [산림보호학6][산림보호학7] [산림보호학8] [산림보호학9] [산림보호학10][산림보호학11] 4. 산림화재 6) 산림화재의 예방 (1) 교육과 계몽 : 입산자의 실화에 의한 산불 발생비율이 가장 높다. (2) 방화선 : 구획 면적은 50ha 이상, 산의 능선(8~9부 능선). 산림구획선.임도·경계선·도로·하천·암석지 등 이용 10~20m 폭으로 임목·관목·잡초 제거, 내화성 수종 식재 -> 방화수대 형성 - 피나무·고로쇠 등 : 잎갈나무와 일.. 2024. 3. 22. [산림보호학1] 산림기사 완벽대비를 위한 정리자료를 찾고 계시나요? 산림기사 대비 산림보호학 정리자료입니다. 여기서는 산림보호학에서 인위에 의한 피해 중 산림 경계의 침입, 도벌, 낙업채취, 산림화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 ※산림보호학 목차 [산림보호학1] [산림보호학2][산림보호학3] [산림보호학4] [산림보호학5] [산림보호학6][산림보호학7] [산림보호학8] [산림보호학9] [산림보호학10][산림보호학11] 제1장. 인위에 의한 피해 1. 산림 경계의 침입 : 경계석을 세워 방지 2. 도벌 : 산림에서 그 산물(조림된 묘목 포함)을 절취한 자 -> 7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 - 나머지는 대개 1년 이상 10년 이하의 징역 3. 낙엽채취 : 생태계 균형 파괴, 토양의 양분 박탈 등 임지의 황폐화 초.. 2024. 3. 22. 이전 1 2 3 다음